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opinionX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opinionX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3052)
    • 정치 칼럼 (4978)
      • 금태섭의 모서리 (8)
      • 장덕진의 정치시평 (52)
      • 기자 칼럼, 기자메모 (272)
      • 정동칼럼 (32)
    • 일반 칼럼 (12434)
      • 세상읽기 (676)
      • 진중권의 돌직구 (10)
      • 신형철의 뉘앙스 (13)
      • 김웅의 덧뵈기 (6)
      • 고병권의 묵묵 (25)
      • 기자 칼럼, 기자메모 (186)
      • 시선 (171)
      • 이렇게 (416)
      • 詩想과 세상 (58)
      • 문화와 삶 (330)
      • 직설 (375)
      • 경향의 눈 (20)
      • 여적 (21)
      • 생각그림 (22)
      • 김홍표의 과학 한귀퉁이 (39)
      • 송혁기의 책상물림 (144)
      • 양승훈의 공론 공작소 (41)
      • 이굴기의 꽃산 꽃글 (354)
      • 임의진의 시골편지 (364)
      • 정희진의 낯선사이 (99)
      • 오창익의 인권수첩 (60)
      • 하태훈의 법과 사회 (34)
    • 주제별 (2401)
      • 픽션 (82)
      • 교육 (598)
      • 노동, 비정규직 (455)
      • IT 통신 (64)
      • 스포츠와 세상 (290)
      • 녹색세상 (134)
      • 환경과 에너지 (778)
    • =====지난 칼럼===== (3212)
      • 김산하의 야생학교 (46)
      • 김규항의 혁명은 안단테로 (59)
      • 김경의 트렌드 vs 클래식 (67)
      • 서민 칼럼 (94)
      • 강용주의 안아픈 사회 (6)
      •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56)
      • 경향시선 (338)
      • 작은 것이 아름답다 (52)
      • 핫 키워드 (27)
      • 지금 SNS에선 (107)
      • 송경동 칼럼 (29)
      • 알고 쓰는 말글 (202)
      • 2030콘서트 (74)
      • 김우창 칼럼 (22)
      • 김종철 칼럼 (49)
      • 김태일의 정치시평 (26)
      • 김호기의 정치시평 (18)
      • 이남주의 정치시평 (18)
      • 하승수의 틈 (44)
      • 장은주의 정치시평 (17)
      • 김규항의 '좌판' (30)
      • 김종휘의 횡단보도 (37)
      • 김종락의 마포스캔들 (36)
      • 고종석의 편지 (22)
      • 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51)
      • 강신주 칼럼 (50)
      • 가족이야기 (31)
      • 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140)
      • 김형경의 뜨거운 의자 (34)
      • 나사못회전의 고전읽기 (53)
      • 사유와 성찰 (193)
      • 낮은 목소리로 (79)
      • 손호철 칼럼 (64)
      • 소소한 풍경 (11)
      • 생생 시사데이터 (31)
      • 이범의 진보가 진보하려면 (7)
      • 이택광 칼럼 (75)
      • 이상돈 칼럼 (27)
      • 이철희 칼럼 (22)
      • 이건의 소방이야기 (43)
      • 우석훈의 시민운동 몇어찌 (50)
      • 장덕진 칼럼 (4)
      • 조국 칼럼 (13)
      • 정도언의 마음읽기 (12)
      • 지금 논쟁 중 (78)
      • 배철현의 심연 (24)
      • 박범신의 논산일기 (12)
      • 박주민의 동분서주 (14)
      • 별별시선 (280)
      • 최장집 칼럼 (15)
      • 표창원 칼럼 (61)
      • 한기호의 다독다독 (104)
      • 함정임의 세상풍경 (60)
      • 황현산의 밤이 선생이다 (19)
      • 한국, 소통합시다 (79)
  • 방명록

전체 글 (23052)
1부-(4) 금융위기에 접속된 나: “나라 망하지 않는 한 원금 안까먹는다더니”

1부-(4) 금융위기에 접속된 나…투자자와 비투자자 김재중·유희진기자 고수익의 유혹은 달콤했다. 은행 직원들은 상냥했고 믿음직스러웠다. 그들은 “요즘 펀드 하나 가입하지 않은 사람은 바보” “나라가 망하지 않는 한 원금은 까먹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정기저축과 다름없다던 그들의 말을 믿고 묻어뒀던 목돈은 허공으로 사라져 버렸다. 피 같은 돈이 사라져 버린 공간엔 두세배로 커져버린 삶의 무게가 자리잡았다. ■ 부부 생이별한 오원금씨(가명·56) 오씨는 지난 9월26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아내를 미국으로 떠나보냈다. 아내가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처제의 갈비집에 허드렛일을 하기 위해 먼 길을 나선 것이다. 몇년째 좌골신경통과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는 아내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눈물을 글썽이던 그도 2시간 뒤 이..

=====지난 칼럼=====/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2008. 12. 14. 11:50
1부-(4) 금융위기에 접속된 나: 태평양 건너 투자금과 빚… ‘금융 블랙홀’서 만나다

1부-(4) 금융위기에 접속된 나…안산의 고대영씨와 LA의 루세로 유희진 기자 ㆍ경기 안산시 성포동의 한 도로변. 고대영씨가 운영하는 동물병원은 한적하고 조용한 거리에 위치해 있었다. “미미, 앉아! 앉아!” 정적을 깨는 다급한 한 중년 남성의 목소리. 주인을 찾으며 사납게 짖어대는 강아지 한 마리를 잠재우기 위해 고대영씨(40)는 끙끙대고 있었다. 10분간의 실랑이 끝에 겨우 강아지를 치료하고 나서야 고씨는 이마에 맺힌 땀을 닦으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재테크요? 그저 가진 돈을 안정적으로 꾸려가고 싶었습니다. 펀드 같은 건 쳐다보지도 않았어요.” 5년 전까지만 해도 서울에 병원 분점도 낼 정도로 의욕적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사업 확장에 부담을 느꼈다. 욕심 부리다가 화를 부를까 꺼려졌다. 고..

=====지난 칼럼=====/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2008. 12. 14. 11:42
1부-(3) 런던 과일노점상 “매출 60% 줄어… 끔찍하다”

◇ 런던에서 - 공공재 민영화 탓 서민들 더 압박 런던 | 김은정 통신원 지난달 1일 부슬비가 내린 런던 근교 도시 스테인스. 주말마다 이곳에서 과일과 잡화를 좌판에 펼친다는 한 중년 남성에게 요새 장사가 잘되는지 물었다. “끔찍하다(It’s a Shit).” 가판 뒤편에 앉아 있는 그의 부인 얼굴에 피곤한 기색이 역력했다.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스테인스에서, 다른 요일에는 근방의 다른 도시에서 열리는 간이시장에서 장사를 한다는 이 부부는 한숨을 내쉬었다. “사람들이 지갑을 열지 않는 통에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60%가량 줄었어요. 하지만 가스·수도·전기 요금이 지난해보다 50% 인상되고 물가는 치솟았지 뭐요. 정말 쓰레기 같아요.” 그는 격앙되어 있었다. 고급 대형할인 매장인 막스 앤 스펜서(M&S)의 ..

=====지난 칼럼=====/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2008. 12. 7. 11:33
1부-(3) 파리 공장노동자 “하루 임금 35유로나 깎여”

금융위기는 이 지구에 사는 거의 모든 시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크든 작든 사람들은 금융위기로부터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럴듯한 금융회사에 다니며 남부럽지 않게 살던 이뿐이 아니다. 유럽의 이름 모를 소도시에 사는 평범한 시민들, 파리 외곽의 자동차공장 노동자들, 런던 교외의 노점상, 도쿄 시내 조그만 호텔에서 일하던 직원들, 일자리를 찾은 베이징의 젊은이도 사는 게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그들은 왜 그런지 알지 못한다. 뉴스에 등장하는 낯선 숫자들이 어떻게 자기 인생을 힘들게 할 수 있는 건지, 그 숫자가 왜 자기와 상관이 있다는 건지. ◇ 파리에서 - 연금생활자 “무보수 봉사 않고 개인 교습” 파리 | 박지연 통신원 지난달 7일 오전 파리에서 기차로 2시간 거리인 르아브르 시내 ..

=====지난 칼럼=====/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2008. 12. 7. 11:25
1부-(3) 자본시장 지나친 팽창…투기거래 맞물려 재앙

조복현 | 한밭대 경제학과 교수 이번 세계 금융위기는 금융시장에서의 투기적 거래와 신용의 과잉팽창으로부터 발생했다는 점에서 이전의 금융위기들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기도 하지만, 이 금융위기가 더욱 발달된 자본시장과 고도화된 금융세계화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1929년 대공황이나 80년대 이후의 여러 금융위기들은 모두 금융시장에서의 투기적 행동이나 과도한 신용팽창에 기초해 발생했다. 그리고 그러한 금융행동은 대부분 자유방임적 경제사조에 힘입어 증대될 수 있었다. 1920년 대공황 직전까지 미국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금융시장은 자유방임의 사고 하에서 아무런 규제나 감독도 없이 시장자율에 따라 자유롭게 작동하고 있었다. 또한 80년대 이후에도 세계 각국에서 다시..

=====지난 칼럼=====/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2008. 12. 7. 11:23
1부-(3) 세계 자본시장 통합이 초래한 ‘불황의 공포’

장관순기자 ㆍ하나의 불씨가 세계를 불사르다 - 미국발 금융위기의 특징 ㆍ개인들도 금융버블 가담 ㆍ빠르고 광범위하게 확산 ‘그날’이 오기 전 우리는 금융거품과 부동산거품이 두텁게 깔린 소파의 푹신함을 즐기고 있었다. 컴퓨터 마우스 클릭 한번으로 지구 반대편에서 주식을 사고 팔 수 있게 해준 금융세계화의 신속성, ‘선진금융기법’이 약속한 장기호황의 기대감은 우리를 매료시켰다. 우리가 달콤함에 취해있는 사이 ‘서브 프라임 모기지’라는 바람은 우리의 집과 직장, 재산을 쉽게 불에 탈 수 있게 바짝 말려가고 있었다. 대지가 건조해지면 단비가 내리는 게 시장의 원리라던 신자유주의자들의 외침과 달리 바짝 마른 대지 위에 마른 번개가 내리 꽂혔다. 2008년 9월15일 미국 투자은행 리먼 브러더스가 파산한 것이다. 리..

=====지난 칼럼=====/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2008. 12. 7. 11:19
1부-(3) ‘세계를 뒤흔든 9일’

조찬제기자 지난 9월12일 금요일 오후 6시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 회의실. 씨티그룹의 비크람 팬딧,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디먼, 골드만삭스의 로이드 블랭크페인, 메릴린치의 존 테인 등 월스트리트의 내로라하는 최고경영자(CEO) 30여명이 무거운 표정으로 앉아 있다. 헨리 폴슨 재무장관,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위원회(FRB) 의장, 크리스토퍼 콕스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티머시 가이트너 뉴욕연방준비은행장 등 최고위급 금융당국자들도 참석했다. 가이트너 은행장이 입을 열었다. “정부는 구제금융을 할 의사가 없습니다. 내일 아침 다시 올 때 뭔가(공동 대응 방안)를 준비해 주십시오.” 위기에 빠진 리먼 브라더스와 메릴린치에 대해 한 말이다. 두 회사는 이제 백척간두에 서게 되었다. 누가 벼랑 끝에 ..

=====지난 칼럼=====/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2008. 12. 7. 11:13
1부-(2) 미국을 가다: 파생상품 판매인 코그네티의 증언

1부-(2) 미국을 가다 로스앤젤레스 | 유희진기자 ㆍ“전 세계가 탐욕에 눈멀어 빚잔치를 벌였다” ㆍ과도한 차입 의존 투자방식이 화근…“시스템의 위기” ㆍ사무실 대출 등 터질 문제 많아…‘L자형 침체’ 예상 월가 생활 7년째인 코그네티(37)는 서브프라임 문제가 터지기 직전까지 그 한가운데에 서 있었다. 미 국내 최대 규모로 꼽히는 은행의 판매부서가 그의 자리였다. 부서 내의 트레이더들이 주택저당증권(MBS)을 사들여 그것을 섞고 짜깁기해(구조화) 상품을 만들면, 그 상품을 투자자들에게 팔았다. 모기지 부실이 드러나며 일하던 회사의 부서가 구조조정돼 없어질 때까지 계속됐다. 월가를 나와 새출발을 한 그는 적응이 쉽지 않다고 했다. 그는 “지금까지 많은 것을 누리며 살아온 대가를 지금 치르고 있다고 생각하..

=====지난 칼럼=====/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2008. 11. 30. 11:51
이전 1 ··· 2877 2878 2879 2880 2881 288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경향신문 온라인 여론⋯
최근에 올라온 글
  • [여적]옥중 경영
  • [기고]기후위기 경영, 지⋯
  • 건조한 날씨 속 정월대보⋯
  • [이해인 수녀의 詩편지](4⋯
최근에 달린 댓글
  • 좋은 글 감사합니다. 우리나⋯
  • 예방백신을 미국 바이든도 먼⋯
  • 자식과 손자들 오면 반갑고⋯
  • 대통령도 재수 몇번 해야 당⋯
Total
5,690,875
Today
94
Yesterday
1,066
링크
  • 김민아의 소심한 상상
  • 김봉선의 벼르고 벼리기
  • 김진호의 세계읽기
  • 김철웅의 촌철살인
  • 노응근의 글도락
  • 박용채의 심심상인
  • 손동우의 정동만필
  • 송충식의 정동22번지
  • 양권모의 권모술수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 이대근의 세상에 속지않기
  • 이승철의 푼푼한 글집
  • 이종탁이 만난 사람
  • 조호연의 여러가지
TAG
  • 헌법재판소
  • 코로나19
  • 교육부
  • 문재인 대통령
  • 청와대
  • 문재인 정부
  • 사법부
  • 촛불
  • 황교안
  • 블랙리스트
  • 미세먼지
  • 북핵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검찰
  • 성폭력
  • 탄핵
  • 문재인
  • 박정희
  • 최순실
  • 촛불집회
  • 정유라
  • 자유한국당
  • 양승태 전 대법원장
  • 새누리당
  • 김기춘
  • 북한
  • 세월호
  • 우병우
  • 국정농단
  • 박근혜
more
«   2021/02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
  • 2021/02 (153)
  • 2021/01 (168)
  • 2020/12 (194)
  • 2020/11 (163)
  • 2020/10 (135)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