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opinionX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opinionX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6271)
    • 정치 칼럼 (5454)
      • 정동칼럼 (209)
      • 에디터의 창 (5)
      • 장덕진 칼럼 (71)
      • 기자 칼럼, 기자메모 (302)
    • 일반 칼럼 (14425)
      • 세상읽기 (847)
      • 정동칼럼 (59)
      • 기자 칼럼, 기자메모 (220)
      • 시선 (266)
      • 詩想과 세상 (127)
      • 문화와 삶 (399)
      • 직설 (489)
      • 경향의 눈 (57)
      • 여적 (305)
      • 생각그림 (80)
      • 김홍표의 과학 한귀퉁이 (39)
      • 송혁기의 책상물림 (167)
      • 임의진의 시골편지 (433)
      • 정희진의 낯선사이 (107)
      • 하태훈의 법과 사회 (42)
      • 이렇게 (476)
    • 주제별 (2601)
      • 픽션 (92)
      • 교육 (649)
      • 노동, 비정규직 (472)
      • IT 통신 (65)
      • 스포츠와 세상 (305)
      • 녹색세상 (201)
      • 환경과 에너지 (817)
    • =====지난 칼럼===== (3758)
      • 고병권의 묵묵 (26)
      • 금태섭의 모서리 (8)
      • 진중권의 돌직구 (10)
      • 신형철의 뉘앙스 (23)
      • 오창익의 인권수첩 (60)
      • 양승훈의 공론 공작소 (42)
      • 김산하의 야생학교 (46)
      • 이굴기의 꽃산 꽃글 (371)
      • 김웅의 덧뵈기 (6)
      • 김규항의 혁명은 안단테로 (59)
      • 김경의 트렌드 vs 클래식 (67)
      • 서민 칼럼 (94)
      • 강용주의 안아픈 사회 (6)
      •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56)
      • 경향시선 (338)
      • 작은 것이 아름답다 (52)
      • 핫 키워드 (27)
      • 지금 SNS에선 (107)
      • 송경동 칼럼 (29)
      • 알고 쓰는 말글 (202)
      • 2030콘서트 (74)
      • 김우창 칼럼 (22)
      • 김종철 칼럼 (49)
      • 김태일의 정치시평 (26)
      • 김호기의 정치시평 (18)
      • 이남주의 정치시평 (18)
      • 하승수의 틈 (44)
      • 장은주의 정치시평 (17)
      • 김규항의 '좌판' (30)
      • 김종휘의 횡단보도 (37)
      • 김종락의 마포스캔들 (36)
      • 고종석의 편지 (22)
      • 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51)
      • 강신주 칼럼 (50)
      • 가족이야기 (31)
      • 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140)
      • 김형경의 뜨거운 의자 (34)
      • 나사못회전의 고전읽기 (53)
      • 사유와 성찰 (193)
      • 낮은 목소리로 (79)
      • 손호철 칼럼 (64)
      • 소소한 풍경 (11)
      • 생생 시사데이터 (31)
      • 이범의 진보가 진보하려면 (7)
      • 이택광 칼럼 (75)
      • 이상돈 칼럼 (27)
      • 이철희 칼럼 (22)
      • 이건의 소방이야기 (43)
      • 우석훈의 시민운동 몇어찌 (50)
      • 장덕진 칼럼 (4)
      • 조국 칼럼 (13)
      • 정도언의 마음읽기 (12)
      • 지금 논쟁 중 (78)
      • 배철현의 심연 (24)
      • 박범신의 논산일기 (12)
      • 박주민의 동분서주 (14)
      • 별별시선 (280)
      • 최장집 칼럼 (15)
      • 표창원 칼럼 (61)
      • 한기호의 다독다독 (104)
      • 함정임의 세상풍경 (60)
      • 황현산의 밤이 선생이다 (19)
      • 한국, 소통합시다 (79)
  • 방명록

2022/05/18 (6)
'윤핵관' 위에 ‘검핵관’

오래전 정부 부처들 사이에도 계급이 있다는 농담조 ‘부처 분류법’을 들은 적이 있다. 내용인즉슨, 자기 조직의 수장도 못 내는 부처가 맨 아래에 있고, 그 위로 자기네 조직의 수장 정도는 내는 부처, 그리고 그것을 넘어 남의 부처에 장까지 내는 부처가 있다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뇌리에 남은 것을 보면 이 분류법에 꽤나 공감했던 모양이다. 그 공직자는 첫번째 부류의 대표로는 교육부를, 그리고 마지막 끗발 있는 부처로는 법무부와 국방부를 꼽았다. 국방부를 예로 든 것으로 볼 때 전두환·노태우 정권이 끝난 지 아주 오래되지는 않았던 시기인 듯싶다. 5·6공화국의 군인 출신 대통령 시절에는 청와대와 내각 요직에 군인들이 안 가는 곳이 없었다. 군인과 연결될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되지 않는 보건사회부(보건복지부)나..

정치 칼럼 2022. 5. 18. 10:17
울기 좋은 자리

아기는 태어날 때 왜 우는 것일까? 엄마 뱃속에서 양수에 둘러싸여 탯줄로 산소를 공급받다가 갑자기 자신의 입과 폐로 호흡을 해야 하는 변화 때문에 운다는 설명이 일반적이다. 눈과 귀로 쏟아져 들어오는 밝은 빛과 시끄러운 소리에 놀라서 우는 것이라는 말도 그럴 법하다. 그런데 연암 박지원은 마음이 시원해서 우는 것이라고 했다. 좁고 캄캄한 엄마 뱃속에서 답답하게 웅크리고 지내다가 넓고 환한 세상에 나온 것이 하도 시원해서 참된 소리를 마음껏 지르는 것이다. 박지원은 사신단의 일원으로 중국에 가다가 처음 요동 벌판을 마주하고서 “아! 울기 좋은 자리로구나!”라고 소리를 질렀다. 별안간 울고 싶다는 말에 일행이 그 까닭을 묻자, 박지원은 울음의 철학을 펼친다. 사람은 슬플 때만 우는 게 아니다. 기쁨, 분노,..

일반 칼럼/송혁기의 책상물림 2022. 5. 18. 10:11
[공감]다시 써본 취임사

존경하는 대한민국 국민, 재외동포 여러분, 그리고 함께해주신 내외 귀빈 여러분. 저는 오늘 대한민국의 20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제게 위임해주신 막중한 책임감을 느낍니다. 오랜 기간 팬데믹으로 인한 정신적·경제적 고통과 기후, 식량, 에너지 등 다양한 위기가 지구촌 전체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 국가 간 분쟁은 전쟁으로까지 번지는 최악의 상황이 되었으며, 저성장과 대규모 실업, 자산 양극화의 심화가 다양한 사회적 갈등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우리가 안고 있는 현안들의 궁극적 해결은 지혜로운 정치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약용 선생은 정치란 바르게 하는 일이라고 했습니다. 백성이 기울지 않고 고르게 살도록 하는 것이 정치라 했습니다. 정직과 청렴을..

일반 칼럼 2022. 5. 18. 09:59
위스키 온 더 락, 얼음의 법칙을 따르자

한국과 일본의 노동시장 연공서열제는 문제이지만, 나는 모든 이들이 나이와 무관하게 하고 싶은 일을 지속할 수 있는 사회를 원한다. 연령은 계급, 젠더와 함께 중요한 사회 구성 요소로, 모든 분야가 노소(老少)에 따른 ‘우선권’을 둘러싼 정치경제학의 전쟁터다. 나이는 다른 사회 구조와 다르게 ‘어려도’ ‘어중간해도’ ‘늙어도’ 맥락에 따라 차별받는다. 이처럼 연령주의는 간단한 주제는 아니지만, 논외는 있다. 사람들이 “그만큼 해(처)먹었으면 됐지”라고 지칭하는 이들, 정권 교체와 무관하게 평생을 양지에서 “국가를 위해 봉사”해온 사람들은 그만 일해도 된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가 대표적이다. 물론 공직자로서 그의 부적절성은 나이(1949년생)가 아니다. 하지만 이런 분들은 이제 쉬거나 다른 방식으로 공동체..

일반 칼럼/정희진의 낯선사이 2022. 5. 18. 09:45
[기고]남북관계 개선, 서로 먹고사는 것부터 논의하자

지난 7일 북한 대외선전매체 통일의 메아리는 ‘민심은 천심이다’라는 기사에서 한국의 윤석열 정부를 비난했는데, 보도에는 이런 내용도 있었다. “북남관계 개선은 온 겨레가 바라는 대의이며 북과 남의 화해와 단합을 소망하는 8000만 민족의 열렬한 총의”라며 “북남선언들을 존중하고 성실하게 이행하는 것은 온 겨레의 기대와 염원에 부응하는 길이지만 북남선언을 거부하는 것은 민족의 대의를 거스르는 행위”라고 했다. 이는 북한이 자기의 존재를 인식해 달라는 표현이기도 하다. 올해도 여전히 미국과 북한 관계는 서로 각자의 주장만 반복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현재 미국의 조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때와 마찬가지로 북·미관계를 핵문제로 몰고 가고 있다. 즉 추가 제재에만 신경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대북 제재가 지..

일반 칼럼 2022. 5. 18. 09:43
[여적]정은경의 뒷모습

자신들에게 헌신한 이를 위해 옛사람들은 비석을 세웠다. 큰 돌을 정성스레 다듬어 천년이 흘러도 지워지지 않도록 그의 공과 덕을 깊게 새겼다. 아예 쇠로 만들기도 했다. 그 공덕비·선정비에는 영원히 잊지 않겠다며 불망(不忘)이란 글자를 넣는다. 가짜 불망비도 많지만 진실은 드러나게 마련이다. 결국 깨지거나 땅에 묻힌다. 불망비의 무게는 그렇게 무겁다. 삶을 송두리째 뒤흔든 코로나19 사태 속에 국내외적으로 K방역 상징이던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17일 물러났다. 윤석열 대통령이 백경란 성균관대 교수를 질병관리청장에 임명하면서다. 정 청장은 이날 각 부서를 돌며 직원들을 만난 뒤 조용히 떠났다. 바이러스와의 ‘총성 없는 전쟁’에서 질병관리청장으로 1년8개월, 질병관리본부장직까지 합하면 4년10개월 만이다. 방..

일반 칼럼 2022. 5. 18. 09:42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경향신문 온라인 여론⋯
최근에 올라온 글
  • [미디어세상]이제라도 입⋯
  • 대중은 진보하는데 진보정⋯
  • 공룡섬
  • [아침을 열며]인구소멸과⋯
최근에 달린 댓글
  • 내용도 모르고 그냥 좋다고⋯
  • 어휴 차별의 탈을 쓴 악법이⋯
  • 차별금지법이라니.. 말같지도⋯
  • 가정과 사회의 근간을 흔드는⋯
Total
6,236,571
Today
0
Yesterday
953
링크
  • 김민아의 소심한 상상
  • 김봉선의 벼르고 벼리기
  • 김진호의 세계읽기
  • 김철웅의 촌철살인
  • 노응근의 글도락
  • 박용채의 심심상인
  • 손동우의 정동만필
  • 송충식의 정동22번지
  • 양권모의 권모술수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 이대근의 세상에 속지않기
  • 이승철의 푼푼한 글집
  • 이종탁이 만난 사람
  • 조호연의 여러가지
TAG
  • 트럼프
  • 문재인
  • 북핵
  • 김기춘
  • 미세먼지
  • 헌법재판소
  • 자유한국당
  • 북한
  • 교육부
  • 문재인 정부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촛불
  • 성폭력
  • 새누리당
  • 양승태 전 대법원장
  • 정유라
  • 우병우
  • 박정희
  • 박근혜
  • 촛불집회
  • 문재인 대통령
  • 탄핵
  • 국정농단
  • 블랙리스트
  • 황교안
  • 사법부
  • 세월호
  • 최순실
  • 검찰
  • 청와대
more
«   2022/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 2022/07 (19)
  • 2022/06 (200)
  • 2022/05 (191)
  • 2022/04 (191)
  • 2022/03 (203)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