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opinionX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opinionX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5983)
    • 정치 칼럼 (5409)
      • 정동칼럼 (191)
      • 에디터의 창 (4)
      • 장덕진 칼럼 (69)
      • 기자 칼럼, 기자메모 (302)
    • 일반 칼럼 (14202)
      • 세상읽기 (836)
      • 정동칼럼 (52)
      • 기자 칼럼, 기자메모 (214)
      • 시선 (261)
      • 詩想과 세상 (120)
      • 문화와 삶 (393)
      • 직설 (481)
      • 경향의 눈 (57)
      • 여적 (283)
      • 생각그림 (74)
      • 김홍표의 과학 한귀퉁이 (39)
      • 송혁기의 책상물림 (164)
      • 임의진의 시골편지 (427)
      • 정희진의 낯선사이 (106)
      • 하태훈의 법과 사회 (42)
      • 이렇게 (476)
    • 주제별 (2583)
      • 픽션 (92)
      • 교육 (645)
      • 노동, 비정규직 (471)
      • IT 통신 (65)
      • 스포츠와 세상 (304)
      • 녹색세상 (195)
      • 환경과 에너지 (811)
    • =====지난 칼럼===== (3758)
      • 고병권의 묵묵 (26)
      • 금태섭의 모서리 (8)
      • 진중권의 돌직구 (10)
      • 신형철의 뉘앙스 (23)
      • 오창익의 인권수첩 (60)
      • 양승훈의 공론 공작소 (42)
      • 김산하의 야생학교 (46)
      • 이굴기의 꽃산 꽃글 (371)
      • 김웅의 덧뵈기 (6)
      • 김규항의 혁명은 안단테로 (59)
      • 김경의 트렌드 vs 클래식 (67)
      • 서민 칼럼 (94)
      • 강용주의 안아픈 사회 (6)
      •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56)
      • 경향시선 (338)
      • 작은 것이 아름답다 (52)
      • 핫 키워드 (27)
      • 지금 SNS에선 (107)
      • 송경동 칼럼 (29)
      • 알고 쓰는 말글 (202)
      • 2030콘서트 (74)
      • 김우창 칼럼 (22)
      • 김종철 칼럼 (49)
      • 김태일의 정치시평 (26)
      • 김호기의 정치시평 (18)
      • 이남주의 정치시평 (18)
      • 하승수의 틈 (44)
      • 장은주의 정치시평 (17)
      • 김규항의 '좌판' (30)
      • 김종휘의 횡단보도 (37)
      • 김종락의 마포스캔들 (36)
      • 고종석의 편지 (22)
      • 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51)
      • 강신주 칼럼 (50)
      • 가족이야기 (31)
      • 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140)
      • 김형경의 뜨거운 의자 (34)
      • 나사못회전의 고전읽기 (53)
      • 사유와 성찰 (193)
      • 낮은 목소리로 (79)
      • 손호철 칼럼 (64)
      • 소소한 풍경 (11)
      • 생생 시사데이터 (31)
      • 이범의 진보가 진보하려면 (7)
      • 이택광 칼럼 (75)
      • 이상돈 칼럼 (27)
      • 이철희 칼럼 (22)
      • 이건의 소방이야기 (43)
      • 우석훈의 시민운동 몇어찌 (50)
      • 장덕진 칼럼 (4)
      • 조국 칼럼 (13)
      • 정도언의 마음읽기 (12)
      • 지금 논쟁 중 (78)
      • 배철현의 심연 (24)
      • 박범신의 논산일기 (12)
      • 박주민의 동분서주 (14)
      • 별별시선 (280)
      • 최장집 칼럼 (15)
      • 표창원 칼럼 (61)
      • 한기호의 다독다독 (104)
      • 함정임의 세상풍경 (60)
      • 황현산의 밤이 선생이다 (19)
      • 한국, 소통합시다 (79)
  • 방명록

=====지난 칼럼=====/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51)
소리 내어 책 읽기

4년 전 초여름 대선 경선에 나온 야당의 한 후보가 ‘저녁이 있는 삶’을 주창했다. 이 때문에 설레던 이들이 꽤 많았지만 더 많은 돈을 욕망하느라 ‘삶을 삼킨 저녁’은 달라지지 않았다. 2년 전 가을 나는 이 지면에 ‘저녁은 이미 넘쳐나고 있다’는 칼럼을 썼다. 무연무업(無緣無業) 인구가 급증한 사회의 ‘넘쳐나는 저녁’엔 불안과 고독이 미세먼지처럼 가득했다. “완전히 다른 상상이 절실”하다고 글을 마쳤지만 돌아보면 상상은 태부족했다. 그러다 지난 5월17일 강남역 10번 출구 인근의 주점 화장실에서 살인 범죄가 벌어졌다. 5월28일엔 구의역 9-4지점 승강장에서 사망사고가 일어났다. 두 사건을 접하면서 ‘저녁이 있는 삶’에 대한 내 감정과 생각은 곤두박질쳤다. 구의역 9-4지점 승강장에서 홀로 안전문을 ..

=====지난 칼럼=====/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2016. 6. 2. 13:00
망가진 책에 대한 아쉬움

잘 아는 교수님이 소설책을 번역해서 보냈다. 역자가 둘이다. 그분은 원래 부부 교수님인데, 한 분은 영문학자, 한 분은 역사학자다. 두 분이 번역했겠거니 했는데, 역자 중 한 사람은 아드님이란다. 참으로 (순전히 내 생각이지만!) 행복하겠구나 싶었다. 책을 훑어보니, 한 페이지는 인쇄가 되어 있고, 한 페이지는 인쇄가 되어 있지 않았다. 파본이다. 서점에서 산 책이라면 당장 바꾸었을 것이다. 하지만 기증받은 책을 파본이라며 돌려보내고 다시 새 책을 달라고 한다면, 뭔가 좀 이상한 것 같다. 그래서 서가에 꽂아두고 내쳐 그냥 두었다. 뒤에 그 교수님을 만나 책을 보내주어 고맙다 하고 책의 상태가 그랬다고 하니, 깜짝 놀라면서 새 책을 보내주겠다 했다. 하지만 그럴 필요가 없다고 했다. 아니 파본이니까 그냥..

=====지난 칼럼=====/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2016. 5. 11. 21:00
평전을 기다린다

같은 대학에 근무하는 친구가 나더러 자기들 모임에 좀 나와 줄 수 없느냐고 부탁을 한다. 무슨 모임인가 물었더니 책읽기 모임이란다. 한 달에 한 번 책을 읽고 토론을 하는 모임으로 마침 내가 쓴 책을 읽고 토론을 할 예정인데, 그 친구가 저자가 친구라고 했더니 모임에서 불러서 같이 얘기를 해보자고 제안했다는 것이다. 친구는 자연과학을 전공하고 그 모임 역시 같은 자연과학 전공자의 모임이다.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문과 쪽 전공자들이 자연과학 쪽 지식을 결여하고 있듯,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분들은 대체로 인문학 쪽 관심이 희박하다. 같은 대학에 있지만 사실 딴 세계에서 살고 있는 듯한 느낌이 없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자신의 결핍을 채우고자 하는 의식적 노력도 있다. 친구의 모임은 주로 인문학 서적을 읽고..

=====지난 칼럼=====/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2016. 4. 20. 21:00
시간에 엮인 평생, 연보

조선시대 문인에 대해 공부를 하다 보면, 어떤 작품을 언제 썼더라, 이때 그가 무엇을 하고 있었지 하는 의문이 든다. 꽤나 중요한 작품이어서 창작 연도를 꼭 알고 싶은데, 알 길이 없다. 이럴 때면 소상한 연보가 있었으면 한다. 물론 유명한 문인이라면 문집에 문인의 비문이나 행장 같은 것이 있어서 대충 그 사람의 생애는 알 수가 있다. 또 조금 더 유명한 인물로 벼슬을 했다면 이라든가 같은 관찬 사료에 이름이 나온다. 이것으로 참고할 수도 있다. 그래도 좀 더 자세한 것을 원할 수도 있다. 또 일반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유명한 학자, 정치인이라면 문집 끝에 연보가 있다. 이 경우 해당 인물을 이해하는 지름길을 만난 것 같다. 연보도 갖가지인데 내가 본 정말 상세한 연보는 다. 모두 4권인데, 약 60..

=====지난 칼럼=====/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2016. 3. 31. 21:00
족보가 있는지?

집안이 중요하다는 것은 다 안다. 누가 어떤 사람인지 알려면, 그에 관한 정보를 자연스레 모으게 되는데, 주로 어느 학교를 다녔는지를 먼저 따진다. 대한민국 사회에서 어떤 사람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면, 먼저 이렇게 묻는다. ‘어느 대학 나왔는데?’ 실제 학벌이 그 사람의 사회적 위상을 정하는 카스트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고, 그것이 모두에게 깊이 내면화되어 있다는 것도 다 아는 사실이다. 전근대 사회로 가면 약간 다르다. 사람을 만나 정보가 없다면, 먼저 그의 집안부터 알려고 든다. 그가 어떤 성씨이며 어떤 파에 속하는지, 또 그의 직계는 어떤 관직에 있었는지 등을 묻는다. 박지원이나 정약용처럼 유명한 사람이라면 소용이 없지만, 이름을 듣고 금방 감이 오지 않는 사람이라면 족보를 찾아서 계보를 따져..

=====지난 칼럼=====/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2016. 3. 21. 21:00
가장 영향력 있는 책, 교과서

가장 감명 깊은 책은 쉽게 말할 수 없지만 가장 영향력이 있는 책은 누구에게나 다 있다. 무슨 고전 같은 것을 말하느냐고? 그건 아니다. 내 인생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책은 아마도 초·중·고 교과서일 것이다. 반박하실 분도 있을 것이다. 교과서라니? 꿈에도 생각해 본 적이 없다고 답할 분도 있을 것이다. 기독교인이라면 성경을 꼽을 것이다. 불교 신자라면 불경을, 드물지만 이슬람교 신자라면 코란을 꼽을지도 모르겠다. 또 어떤 이는 자신이 좋아하는 어떤 작가의 소설을 들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들은 아마도 일시적인 감명일 수는 있지만 당신을 ‘만든’ 책은 아닐 터이다. 가장 엄청난 책은 당신 자체, 혹은 나아가 인간 자체를 만드는 책이다. 그 거룩한 책의 이름은 교과서다. 교과서를 좋아하는 사람..

=====지난 칼럼=====/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2016. 2. 24. 21:00
감명 받은 책

중·고등학교는 물론이고 대학 입학 때, 그리고 직장에 들어갈 때 입학·입사 서류를 만들면 거기에는 반드시 취미란이 있었다. 적지 않아도 그만이지만 공연히 적지 않으면 뭔가 불이익을 받을 것 같아 꼬박꼬박 채워 넣었다. 요즘도 그런 난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서류를 만들어야 했던 때는 주로 70, 80년대라 먹고살기 바쁜 가난한 시절이었다. 무슨 취미를 기를 여유가 있단 말인가. 또 대학생 때는 ‘음주’ ‘흡연’이 취미였지만, 그것을 그대로 쓸 수는 없었다. 제일 만만한 것이 ‘독서’였다. 이야기가 옆으로 새지만, 이제는 담뱃값이 올라 흡연의 즐거움도 쉽게 누릴 수가 없는 형편이 되었다. 어쨌거나 왜 남의 취미는 묻는단 말인가. 나는 취미란의 취미들이 어떤 효용가치가 있는지 지금도 모른다. 취미가 독..

=====지난 칼럼=====/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2016. 2. 11. 21:00
무협소설 졸개들은 가족도 없는가

사십 대 중반을 지나면서 몸에 큰 고장이 났다. 한동안 병원신세를 진 것은 물론이다. 퇴원해서 집에서 요양하면서 몸을 다시 일으켜 세워야 하였다. 꼬박 1년 반을 집에서 보냈다. 의사 선생의 지시는 책을 보지 말고 무조건 쉬란다. 책을 보지 않아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한동안 아예 볼 수가 없었다. 무료하기 짝이 없었다. 할 수 있는 일이란 누워서 TV를 보는 것이다. 대한민국 TV가 얼마나 볼 것이 없는지는 일주일 만에 뼈저리게 깨우쳤다. 어느 날 선배 교수님께서 경과가 어떠냐고 전화를 하셨다. 이런저런 이야기 끝에 너무나 무료하다고 했더니, 웃으시면서 비디오방에 가서 무협비디오나 빌려다가 보라고 하신다. 그냥 소일거리로 켜 놓고 있으란다. 무슨 재미가 있을까 싶었지만, 생각도 말고 그냥 시간을 보내는 데..

=====지난 칼럼=====/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2016. 1. 27. 21:00
이전 1 2 3 4 ··· 7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경향신문 온라인 여론⋯
최근에 올라온 글
  • 대통령 정치언어와 민중⋯
  • 허구적 노동개혁보다 진보⋯
  • [에디터의 창]우리는 ‘검⋯
  • 섞여야 강하다
최근에 달린 댓글
  • 안녕하세요. 내용 잘 보았습⋯
  • 강도태이사장⁹ 정은경청장⋯
  • 댕소리도 정성껏 쓰셨네 남자⋯
  • 정책 세운 놈들은 그게 잘못⋯
Total
6,125,937
Today
356
Yesterday
801
링크
  • 김민아의 소심한 상상
  • 김봉선의 벼르고 벼리기
  • 김진호의 세계읽기
  • 김철웅의 촌철살인
  • 노응근의 글도락
  • 박용채의 심심상인
  • 손동우의 정동만필
  • 송충식의 정동22번지
  • 양권모의 권모술수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 이대근의 세상에 속지않기
  • 이승철의 푼푼한 글집
  • 이종탁이 만난 사람
  • 조호연의 여러가지
TAG
  • 성폭력
  • 황교안
  • 미세먼지
  • 자유한국당
  • 국정농단
  • 검찰
  • 문재인
  • 탄핵
  • 우병우
  • 새누리당
  • 문재인 대통령
  • 트럼프
  • 최순실
  • 사법부
  • 교육부
  • 김기춘
  • 헌법재판소
  • 문재인 정부
  • 촛불
  • 촛불집회
  • 박근혜
  • 양승태 전 대법원장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블랙리스트
  • 북핵
  • 북한
  • 정유라
  • 청와대
  • 세월호
  • 박정희
more
«   2022/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 2022/05 (122)
  • 2022/04 (191)
  • 2022/03 (203)
  • 2022/02 (167)
  • 2022/01 (173)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