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opinionX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opinionX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3052)
    • 정치 칼럼 (4978)
      • 금태섭의 모서리 (8)
      • 장덕진의 정치시평 (52)
      • 기자 칼럼, 기자메모 (272)
      • 정동칼럼 (32)
    • 일반 칼럼 (12434)
      • 세상읽기 (676)
      • 진중권의 돌직구 (10)
      • 신형철의 뉘앙스 (13)
      • 김웅의 덧뵈기 (6)
      • 고병권의 묵묵 (25)
      • 기자 칼럼, 기자메모 (186)
      • 시선 (171)
      • 이렇게 (416)
      • 詩想과 세상 (58)
      • 문화와 삶 (330)
      • 직설 (375)
      • 경향의 눈 (20)
      • 여적 (21)
      • 생각그림 (22)
      • 김홍표의 과학 한귀퉁이 (39)
      • 송혁기의 책상물림 (144)
      • 양승훈의 공론 공작소 (41)
      • 이굴기의 꽃산 꽃글 (354)
      • 임의진의 시골편지 (364)
      • 정희진의 낯선사이 (99)
      • 오창익의 인권수첩 (60)
      • 하태훈의 법과 사회 (34)
    • 주제별 (2401)
      • 픽션 (82)
      • 교육 (598)
      • 노동, 비정규직 (455)
      • IT 통신 (64)
      • 스포츠와 세상 (290)
      • 녹색세상 (134)
      • 환경과 에너지 (778)
    • =====지난 칼럼===== (3212)
      • 김산하의 야생학교 (46)
      • 김규항의 혁명은 안단테로 (59)
      • 김경의 트렌드 vs 클래식 (67)
      • 서민 칼럼 (94)
      • 강용주의 안아픈 사회 (6)
      •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56)
      • 경향시선 (338)
      • 작은 것이 아름답다 (52)
      • 핫 키워드 (27)
      • 지금 SNS에선 (107)
      • 송경동 칼럼 (29)
      • 알고 쓰는 말글 (202)
      • 2030콘서트 (74)
      • 김우창 칼럼 (22)
      • 김종철 칼럼 (49)
      • 김태일의 정치시평 (26)
      • 김호기의 정치시평 (18)
      • 이남주의 정치시평 (18)
      • 하승수의 틈 (44)
      • 장은주의 정치시평 (17)
      • 김규항의 '좌판' (30)
      • 김종휘의 횡단보도 (37)
      • 김종락의 마포스캔들 (36)
      • 고종석의 편지 (22)
      • 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51)
      • 강신주 칼럼 (50)
      • 가족이야기 (31)
      • 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140)
      • 김형경의 뜨거운 의자 (34)
      • 나사못회전의 고전읽기 (53)
      • 사유와 성찰 (193)
      • 낮은 목소리로 (79)
      • 손호철 칼럼 (64)
      • 소소한 풍경 (11)
      • 생생 시사데이터 (31)
      • 이범의 진보가 진보하려면 (7)
      • 이택광 칼럼 (75)
      • 이상돈 칼럼 (27)
      • 이철희 칼럼 (22)
      • 이건의 소방이야기 (43)
      • 우석훈의 시민운동 몇어찌 (50)
      • 장덕진 칼럼 (4)
      • 조국 칼럼 (13)
      • 정도언의 마음읽기 (12)
      • 지금 논쟁 중 (78)
      • 배철현의 심연 (24)
      • 박범신의 논산일기 (12)
      • 박주민의 동분서주 (14)
      • 별별시선 (280)
      • 최장집 칼럼 (15)
      • 표창원 칼럼 (61)
      • 한기호의 다독다독 (104)
      • 함정임의 세상풍경 (60)
      • 황현산의 밤이 선생이다 (19)
      • 한국, 소통합시다 (79)
  • 방명록

=====지난 칼럼=====/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56)
열심히 일할수록 불행해진다?

예전에는 겨울이 몹시 추웠다. 빨간 내복 위에 털실로 짠 바지를 껴입고 눈 쌓인 골목을 휩쓸고 다니다 보면 바지 밑단에 얼음이 엉겨 붙어 뻣뻣해졌다. 그때 골목길은 대개 흙바닥이라서 겨우내 꽝꽝 얼어붙었다가 날이 좀 풀린다 싶으면 쌓여 있던 눈과 함께 녹아 곤죽이 되곤 했다. 이제 집 밖으로 나서면 시멘트 바닥에 아스팔트가 짱짱하게 깔려 있어 실감하지 못하지만, 땅도 겨울에는 강물처럼 얼었다 녹기를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보리밭은 이른 봄이면 겨우내 들뜬 겉흙을 눌러주고, 보리가 뿌리를 잘 내리도록 보리밟기를 한다. 밟아줘야 잘 자라며, 웃자라지 않도록 제때 밟아야 하는 것은 보리의 생장이다. 대학에 들어간 뒤로 내내 아르바이트를 해서 생활비를 번 청년은 얼마 전 꽤 좋은 학원 강사 자리를 얻었다..

=====지난 칼럼=====/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2020. 1. 8. 11:35
‘소녀’를 껴안은 미국 글렌데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 시립도서관 앞 공원에 ‘평화의 소녀상’이 있다 했다. 대로변에 야자나무가 늘어선 LA를 가로질러 닿은 글렌데일은 조용한 도시였다. 특히 도서관 앞 공원은 한적했다. 노인 둘이 나무 그늘에 앉아 두런거렸고, 그들 뒤로 주먹을 단단히 쥔 소녀가 앞을 응시한 채 꼿꼿이 앉아 있었다. 글렌데일시는 2007년 7월30일 미국 하원이 만장일치로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을 통과시킨 것을 기념해 매년 7월30일을 ‘위안부의 날’로 지정했으며, 2013년에는 ‘평화의 소녀상’을 세웠다. 이곳에 소녀상이 설 수 있었던 것은 위안부의 실상을 알리려는 활동가들의 노력도 주요했겠지만, 무엇보다 시민들의 지지 덕분이라고 했다. 글렌데일 시민의 40%가 넘는 아르메니아계 시민들이 과거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에..

=====지난 칼럼=====/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2019. 8. 14. 11:06
새벽 기차를 탄 아이돌

이른 봄날이었다. 아침저녁으로 바람이 차가워서 새벽 기차에 오른 사람들은 대개 두꺼운 패딩을 입고 있었다. 맨 처음 그들이 눈에 띈 것은 옷차림 때문이었다. 똑같이 짧은 치마에 몸에 꽉 끼는 재킷을 입은 그들은 하얀 패딩을 겉에 걸치긴 했지만 추워 보였다. 범상치 않은 옷차림에 곱게 화장한 앳된 여자 여섯 명이 기차 안 좁은 통로에 줄지어 들어서자 앉아 있던 사람들은 모두 고개를 들어 쳐다봤다. 공연하러 가나? 아이돌인 건가? 텔레비전만 켜면 나오는 게 아이돌인데, 그들의 얼굴은 낯설어서 사람들의 호기심은 금방 수그러들었다. 그들은 조용했고, 기차 안에 있던 사람들은 곧 그들을 잊었다. 그들은 기차 종착역인 남쪽 해안 도시에서 내려 기차역을 빠져나가는 인파에 휩쓸려 사라졌다. 그들을 해 질 녘 서울로 가..

=====지난 칼럼=====/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2019. 3. 20. 14:13
전화 교환원들은 어디로 갔을까

어릴 적 내가 살던 면소재지에는 주말이면 유황 온천물에 몸을 담그려고 오는 사람들로 북적이는 기차역이 있었고, 기차역 앞에는 우체국과 전신전화국이 같이 쓰는 건물이 있었다. 그 건물은 기차역사보다도 크고 번듯했지만, 전신전화국으로 쓰이는 방은 옹색했다. 그 방에서 일하던 전화교환원은 고작 두 명이었다. 그들은 하루 종일 교환대 앞에 앉아 전화선을 연결해줬다. 동네마다 전화기를 놓은 집이 몇 되지 않던 때라 전화번호부가 A3 사이즈 종이 한 장으로 충분했지만, 시골 사람들은 그 간단한 전화번호부조차 들여다보는 법이 없었다. 그들은 수화기를 들고 교환원과 연결되면 전화번호를 말하지 않고 대뜸 신언리 박 아무개라든지 장터 고무신 가게라든지 통화하고 싶은 이의 이름을 댔다. 때로는 이름이 가물가물해서 그 집이 ..

=====지난 칼럼=====/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2018. 8. 16. 10:59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내 잘못이 아니었다

우연히 여고생들이 독후감을 발표하는 자리에 있었다. 학생들은 책을 읽으면서 느낀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나온 학생은 성추행당한 주인공이 나오는 소설을 읽은 뒤 많은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우리는 여자로 살면서 성희롱이나 성추행을 흔히 겪잖아요. 그런데 다들 그런 일이 여자 탓인 것처럼 말해요. 짧은 치마 입지 마라, 늦게 다니지 마라.” 그의 말에 스무 명 남짓 되는 아이들이 대개 고개를 끄덕였다. 아이들이 어떤 일을 겪었는지 굳이 묻지 않아도 짐작이 되었다. 그들의 할머니가, 어머니가, 언니가 감내한 일이었으니까. 나 또한 그랬으니까. 그리고 그들은, 나는 딸에게 쉽게 말했다. 네 몸가짐을 잘하라고. “그런데 그건 엘리베이터 안에서 배달되는 치킨 냄새가 좋아서 덥석 집어먹고는 치킨 탓..

=====지난 칼럼=====/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2018. 2. 7. 14:09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40년 전 일기의 주인공

서울 황학동 도깨비시장을 돌아다니다가 헌책을 부려놓은 곳에서 누렇게 빛바랜 일기장을 찾아냈다. 1977년에 발간된 한 어린이 잡지의 2월호 특별 부록인 ‘학습일기장’에는 연필로 꾹꾹 눌러쓴 글씨가 빼곡했다. 겉표지는 떨어져 나가고, 떡제본 된 책등은 벌어져 나달대는 일기장이 어떻게 세상을 돌고 돌아 헌책 사이에 버젓이 끼어들어갔는지 알 수 없었다. 본래 이런 일기장의 숙명은 땅속에 파묻는 김장김치처럼 책상 서랍에서 묵혀졌다가 골마지 낀 묵은 김치 퍼버리듯 버려져 어느 고물상 한 구석에서 불리고 갈아져 사라지기 마련이다. 그리하여 아이는 어린 시절을 까맣게 잊어버리고, 왕년의 삶은 꽤 괜찮았다고 믿는 어른이 되는 것이다. 쪼그리고 앉아 건성으로 일기장을 들춰 보자 어디선가 달려온 가게 주인이 일기장 값을 ..

=====지난 칼럼=====/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2018. 1. 31. 14:53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만홧가게와 웹툰회사의 차이

내 만화의 계보는 쾨쾨한 냄새가 밴 동네 만홧가게에서 시작된다. 서로 알기도 하고 모르기도 하는 아이들은 좁은 나무 의자에 엉덩이를 걸치고 앉아 연신 침을 묻혀가며 책장을 넘겼다. 해 질 녘이면 아이들은 하나둘 빠져나가고, 남은 아이들 중 몇은 어머니한테 붙들려갔다. 나는 그 만홧가게에서 독고탁과 비둘기 합창을 뗐으며 숱한 순정만화들을 봤다. 그 시절 순정만화를 많이 본 여자아이들은 으레 공책 표지 뒷면에 간장종지처럼 큰 눈에 다이아몬드 같은 게 박힌 여자를 그리곤 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짝은 온종일 눈 큰 여자를 그려냈다. 부지런히 손만 움직일 뿐 좀처럼 말을 하지 않던 그 아이는 나중에 만화가가 될 거라고 수줍게 말했다. 나는 그때 처음으로 만화를 보는 사람이 아니라, 만화를 만들어내는 사람이 될..

=====지난 칼럼=====/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2018. 1. 24. 14:26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부모와 자식, 두 개의 세상

그는 한국전쟁 때 혈혈단신 남으로 내려와 피붙이 한 명 없는 땅에서 팔십 평생을 꿋꿋하게 살아왔다. 결혼하고 나서 세운 공장이 꽤 잘 되어서 자식들 남부러울 것 없이 먹이고 입혔다. 부인은 다락방에 네 딸 결혼시킬 때 싸줄 그릇이며 냄비를 착실하게 모았다. 혼자 부초처럼 떠돌던 젊은 시절을 생각하면 출세한 거였다. 그래도 단 하루도 쉬지 않고 일했다. 하지만 암에 걸린 부인은 다락방에 차곡차곡 쌓아 놓은 그릇과 결혼하지 않은 딸들을 남겨놓은 채 세상을 떴다. 그는 아무런 꿈 없이 공장과 집을 오갔다. 그는 변하지 않는데, 하던 일도 그대로인데 세상은 빠르게 변했다. 머리 굵은 자식들은 그가 말만 꺼내면 세상 물정 모르는 소리라고 퉁바리를 줬다. 그의 세상과 아이들의 세상이 다른 것 같았다. 아이들이 뭐라..

=====지난 칼럼=====/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2018. 1. 17. 11:27
이전 1 2 3 4 ··· 7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경향신문 온라인 여론⋯
최근에 올라온 글
  • [여적]옥중 경영
  • [기고]기후위기 경영, 지⋯
  • 건조한 날씨 속 정월대보⋯
  • [이해인 수녀의 詩편지](4⋯
최근에 달린 댓글
  • 좋은 글 감사합니다. 우리나⋯
  • 예방백신을 미국 바이든도 먼⋯
  • 자식과 손자들 오면 반갑고⋯
  • 대통령도 재수 몇번 해야 당⋯
Total
5,690,921
Today
140
Yesterday
1,066
링크
  • 김민아의 소심한 상상
  • 김봉선의 벼르고 벼리기
  • 김진호의 세계읽기
  • 김철웅의 촌철살인
  • 노응근의 글도락
  • 박용채의 심심상인
  • 손동우의 정동만필
  • 송충식의 정동22번지
  • 양권모의 권모술수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 이대근의 세상에 속지않기
  • 이승철의 푼푼한 글집
  • 이종탁이 만난 사람
  • 조호연의 여러가지
TAG
  • 헌법재판소
  • 코로나19
  • 교육부
  • 문재인 대통령
  • 청와대
  • 문재인 정부
  • 사법부
  • 촛불
  • 황교안
  • 블랙리스트
  • 미세먼지
  • 북핵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검찰
  • 성폭력
  • 탄핵
  • 문재인
  • 박정희
  • 최순실
  • 촛불집회
  • 정유라
  • 자유한국당
  • 양승태 전 대법원장
  • 새누리당
  • 김기춘
  • 북한
  • 세월호
  • 우병우
  • 국정농단
  • 박근혜
more
«   2021/02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
  • 2021/02 (153)
  • 2021/01 (168)
  • 2020/12 (194)
  • 2020/11 (163)
  • 2020/10 (135)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