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opinionX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opinionX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5983)
    • 정치 칼럼 (5409)
      • 정동칼럼 (191)
      • 에디터의 창 (4)
      • 장덕진 칼럼 (69)
      • 기자 칼럼, 기자메모 (302)
    • 일반 칼럼 (14202)
      • 세상읽기 (836)
      • 정동칼럼 (52)
      • 기자 칼럼, 기자메모 (214)
      • 시선 (261)
      • 詩想과 세상 (120)
      • 문화와 삶 (393)
      • 직설 (481)
      • 경향의 눈 (57)
      • 여적 (283)
      • 생각그림 (74)
      • 김홍표의 과학 한귀퉁이 (39)
      • 송혁기의 책상물림 (164)
      • 임의진의 시골편지 (427)
      • 정희진의 낯선사이 (106)
      • 하태훈의 법과 사회 (42)
      • 이렇게 (476)
    • 주제별 (2583)
      • 픽션 (92)
      • 교육 (645)
      • 노동, 비정규직 (471)
      • IT 통신 (65)
      • 스포츠와 세상 (304)
      • 녹색세상 (195)
      • 환경과 에너지 (811)
    • =====지난 칼럼===== (3758)
      • 고병권의 묵묵 (26)
      • 금태섭의 모서리 (8)
      • 진중권의 돌직구 (10)
      • 신형철의 뉘앙스 (23)
      • 오창익의 인권수첩 (60)
      • 양승훈의 공론 공작소 (42)
      • 김산하의 야생학교 (46)
      • 이굴기의 꽃산 꽃글 (371)
      • 김웅의 덧뵈기 (6)
      • 김규항의 혁명은 안단테로 (59)
      • 김경의 트렌드 vs 클래식 (67)
      • 서민 칼럼 (94)
      • 강용주의 안아픈 사회 (6)
      •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56)
      • 경향시선 (338)
      • 작은 것이 아름답다 (52)
      • 핫 키워드 (27)
      • 지금 SNS에선 (107)
      • 송경동 칼럼 (29)
      • 알고 쓰는 말글 (202)
      • 2030콘서트 (74)
      • 김우창 칼럼 (22)
      • 김종철 칼럼 (49)
      • 김태일의 정치시평 (26)
      • 김호기의 정치시평 (18)
      • 이남주의 정치시평 (18)
      • 하승수의 틈 (44)
      • 장은주의 정치시평 (17)
      • 김규항의 '좌판' (30)
      • 김종휘의 횡단보도 (37)
      • 김종락의 마포스캔들 (36)
      • 고종석의 편지 (22)
      • 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51)
      • 강신주 칼럼 (50)
      • 가족이야기 (31)
      • 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140)
      • 김형경의 뜨거운 의자 (34)
      • 나사못회전의 고전읽기 (53)
      • 사유와 성찰 (193)
      • 낮은 목소리로 (79)
      • 손호철 칼럼 (64)
      • 소소한 풍경 (11)
      • 생생 시사데이터 (31)
      • 이범의 진보가 진보하려면 (7)
      • 이택광 칼럼 (75)
      • 이상돈 칼럼 (27)
      • 이철희 칼럼 (22)
      • 이건의 소방이야기 (43)
      • 우석훈의 시민운동 몇어찌 (50)
      • 장덕진 칼럼 (4)
      • 조국 칼럼 (13)
      • 정도언의 마음읽기 (12)
      • 지금 논쟁 중 (78)
      • 배철현의 심연 (24)
      • 박범신의 논산일기 (12)
      • 박주민의 동분서주 (14)
      • 별별시선 (280)
      • 최장집 칼럼 (15)
      • 표창원 칼럼 (61)
      • 한기호의 다독다독 (104)
      • 함정임의 세상풍경 (60)
      • 황현산의 밤이 선생이다 (19)
      • 한국, 소통합시다 (79)
  • 방명록

=====지난 칼럼=====/송경동 칼럼 (29)
[송경동의 ‘시(詩)…인(人)’]어떤 가면극들에 대하여

“만나는 사람마다 입을 모아/ 민주화가 잘되어간다고 그러네/ 어떻게 잘되어가느냐고/ 구체적으로 좀 말해달라고 그러면/ 하나같이 입을 열어 대답해주네// 청와대도 개방하고/ 각하란 호칭도 없애고/ 장관 임명장도 서면만으로 하고/ 국무회의 같은 것도 원탁에서 하고// … 벗이여. 닫힌 사회의 대중은 열린 사회의 대중을 모른다네/ 그들이 알고 있는 민주주의는 지배자들이 연출하는 텔레비전 속의 연극뿐이라네/ 그들이 알고 있는 자유는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그들이 각색한 연극 대본뿐이라네.” 87년 항쟁을 거치고, 김영삼 문민정부까지를 보며 김남주 시인이 썼던 ‘연극’이라는 시의 한 부분이다. 탄핵 가결 이후 계속 생각나는 시였다. 탄핵 가결 이후 무엇이 바뀌었는지 모르겠다. 박근혜와 청와대는 탄핵 이유가 전혀 없다고..

=====지난 칼럼=====/송경동 칼럼 2016. 12. 21. 11:15
[송경동의 ‘시(詩)…인(人)’]새로운 시대를 상상하자

이번주 금요일, 비로소 제도 정치권이 할 수 있는 최대선인 ‘대통령 탄핵안 표결’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통과에 대한 우려가 저번 주 내내 이어졌지만 지난 3일 ‘박근혜 즉각 퇴진의 날’에 모인 전국 약 260만명의 물결이 ‘탄핵안 통과’ 이외 어떤 선택도 정치권에 남겨주지 않았다. 범죄자에 다름 아닌 박근혜 대통령은 4차 담화를 통해 ‘국회 합의’와 ‘법’이라는 형식을 통해 ‘명예롭고 질서 있는 퇴진’이라는 마지막 배수진을 쳤지만 분노한 시민들의 부릅뜬 눈을 비켜 갈 수 없었다. 만약 9일 국회에서 국민들의 민의를 어기고 탄핵안이 부결된다면 새누리당 해체와 국회 해산까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게 광장의 목소리다. 박근혜 카드를 버리고 새로운 얼굴과 조합을 통해 재집권 플랜을 짜고자 하는 수구보수재벌 동맹의 ..

=====지난 칼럼=====/송경동 칼럼 2016. 12. 7. 11:28
[송경동의 ‘시(詩)…인(人)’]피의자 박근혜

일본 여행을 떠나기로 했던 지난 11월4일 싸뒀던 여행 가방을 풀고 노숙 가방을 싸서 광화문광장으로 나와 텐트 노숙을 하고 있다. 박근혜 정권에 의해 블랙리스트로 찍힌 문화예술인 7500명이 시국선언을 하던 날이었다. 첫날 텐트 20여 동을 모두 경찰에게 빼앗기고 광장에서 맨몸으로 자야 했던 때가 어제인 듯한데 벌써 20일째다. 처음엔 문화예술인들과 ‘비정규직없는세상만들기’ 사람들 몇이 시작했던 작은 텐트촌이 이젠 60여 동의 다양한 개인 단체들의 텐트와 마을창고, 마을회관 등이 들어선 작은 마을이 되었다. 각각의 텐트에는 입구마다 주인의 성격을 보여주는 개성 있는 현판들이 달렸다. 이제 작은 마을 하나를 이루었지만 전국의 수많은 거리와 광장과 함께 연계해 2011년 9월 세계 경제의 중심인 뉴욕 월가를..

=====지난 칼럼=====/송경동 칼럼 2016. 11. 23. 11:20
[송경동의 ‘시(詩)…인(人)’]역사를 바꾸는 ‘광화문 캠핑촌’

분통이 터져 집에서 TV만 보고 앉아 있을 수가 없었다. 대통령과 비선 실세들이 국가를 자기 집 곳간 정도로 여기며 나랏돈을 빼먹고, 아무런 위임도 없는 사인들이 국가 기밀과 국정 운영 핵심과 인사에 관여하고, 지시까지 내렸다는 이 황당한 상황. 국민의 80%가 하야하라는 의견을 밝히며, 이미 위임된 권력을 회수했지만 모르쇠로 일관하며 얼굴 바꾸기 놀음만 하고 있는 대한민국 역대 최고의 현행범 박근혜. 스스로 범죄 행위를 시인하며 검찰 조사와 특검까지 받겠다면서도 대통령직은 유지하겠다는 그 뻔뻔함이 어디서 나올 수 있을까. 이런 거대한 불의와 국가 전체가 침몰한 상태에서도 ‘혼란’을 이유로 정략적 이해관계만 저울질하는 야권의 행태도 두고 볼 수 없었다. 어떻게 해야 하나. 역사의 고비마다 정의를 바로잡아..

=====지난 칼럼=====/송경동 칼럼 2016. 11. 9. 11:21
[송경동의 ‘시(詩)…인(人)’]청와대에 발부되어야 할 영장

‘국민 여러분, 호소드립니다. 가능한 한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으로 와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마감하려고 앉아 있는 시간. 긴급 공지가 SNS를 도배하고 있다. 백남기 농민 강제 부검을 정말 강행하겠다는 것일까. 25일 밤 12시까지인 영장 집행을 막기 위해 며칠 전부터 수많은 시민들이 서울대병원을 지키고 있다. 24일 경찰은 언론을 통해 강제 집행을 하지 않겠다는 이야기를 흘렸다. 영장 재청구를 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모두가 연막이었다는 말인가. 정말 이 정부를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 어디까지 이 사회를 엉망으로 만들려는 것일까. 정부는, 아니 본인을 중세의 왕처럼 여기는 청와대는 물대포에 의한 공권력 살인 행위를 가리기 위해 그간 무수한 사회적 기준들을 허물어뜨려 왔다. 서울대병원은 외압에 ..

=====지난 칼럼=====/송경동 칼럼 2016. 10. 26. 14:21
[송경동의 ‘시(詩)…인(人)’]백남기 선생은 죽지 않았다

오늘은 집에 들어가고 싶었다. 말끔히 씻고 푹 자고만 싶었다. 삼일째. 네댓 시간밖에 눈을 못 붙였다. 작년 11월14일 민중총궐기 당시 경찰 직사 물대포를 맞고 사경을 헤매던 백남기 선생께서 운명하실 것 같다는 소식에 들어온 길이었다. 고인에 대한 정부 당국자의 말은 직사 물대포만큼이나 기가 막혔다. 경찰은 서울대병원으로 들어오는 모든 도로와 문을 어떤 법적 근거도 없이 막고 조문조차 불허했다. 검경이 담합해 강제부검을 위한 영장을 두 번씩이나 청구하며 하이에나처럼 달려들고 있다. 얼마 전 국회 청문회가 열리기도 했지만 어떤 진실규명도 없이 이렇게 야만의 시간 320일이 지나가고 있다. 한 선배 시인은 선생의 죽음이 ‘죽음이 아닌 죽임’이라고 했다. 그렇다. 선생은 죽은 적이 없다. 죽임을 당한 것일 ..

=====지난 칼럼=====/송경동 칼럼 2016. 9. 28. 13:43
[송경동의 ‘시(詩)…인(人)’]어느 하루 여의도의 아침

오늘 아침엔 여의도로 출근했다. 콜트-콜텍 기타 만드는 노동자들 공동대책위 회의. 새누리당사 앞 노숙농성 331일차, 부당해고 후 3500일 동안 거리농성을 하고 있다. 지난 26일엔 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의 공식 사과를 받아내기도 했다. 그는 단 하루의 사과였지만, 그 사과를 받아내기 위해 노동자들은 60여일을 단식하고 1년여를 새누리당사 앞에서 노숙으로 지새야 했다. 그 세월에 대한 책임은 어떻게 물어야 할까. 한국 부자순위 120위권, 지금도 인도네시아와 중국으로 빼돌린 공장에서 배를 불리고 있는 박영호 사장의 사과와 책임은 언제쯤 물을 수 있을까. ‘미래에 다가올 경영상의 위기’에도 해고가 정당하다는 면죄부를 준 대법원의 사과와 책임은 언제쯤 물을 수 있을까. 정의는 언제쯤이나 바로 세워질 수 ..

=====지난 칼럼=====/송경동 칼럼 2016. 8. 31. 10:36
[송경동의 ‘시(詩)…인(人)’]유가협 어른들께, 고맙습니다

“생겨선 안되는 모임/ 만나지 말았어야 할 인연들이었다/ 빨리 없어져야 할 슬픔의 집, ‘한울삶’/ 더 이상 회원이 늘면 안되는 단체였다// 푸르른 얼굴의 영정 하나씩을 들고/ 눈이 벌겋게 붓고 시시때때로 목이 메이고/ 가슴이 찢어지고 넋이 풀린 이들이/ 떨어진 낙옆들마냥 한 잎 두 잎 모였다// 모이지라도 않으면/ 살 수 없는 시간들/ 분통이라도 터트리지 않으면/ 견딜 수 없던 세월”(졸시 ‘가는 길 험난하여도’ 중에서). 지난 8월12일 ‘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창립 30주년 기념식에서 낭송했던 여는 시다. 1970년 청년 전태일이 분신한 후 수많은 이들이 독재와 착취, 분단구조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유명을 달리했다. 어떤 이는 고문으로 죽어갔다. 거꾸로 매달고, 전기로 지지고, 물을 먹였다고 했다. 항..

=====지난 칼럼=====/송경동 칼럼 2016. 8. 17. 11:15
이전 1 2 3 4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경향신문 온라인 여론⋯
최근에 올라온 글
  • 대통령 정치언어와 민중⋯
  • 허구적 노동개혁보다 진보⋯
  • [에디터의 창]우리는 ‘검⋯
  • 섞여야 강하다
최근에 달린 댓글
  • 안녕하세요. 내용 잘 보았습⋯
  • 강도태이사장⁹ 정은경청장⋯
  • 댕소리도 정성껏 쓰셨네 남자⋯
  • 정책 세운 놈들은 그게 잘못⋯
Total
6,125,957
Today
376
Yesterday
801
링크
  • 김민아의 소심한 상상
  • 김봉선의 벼르고 벼리기
  • 김진호의 세계읽기
  • 김철웅의 촌철살인
  • 노응근의 글도락
  • 박용채의 심심상인
  • 손동우의 정동만필
  • 송충식의 정동22번지
  • 양권모의 권모술수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 이대근의 세상에 속지않기
  • 이승철의 푼푼한 글집
  • 이종탁이 만난 사람
  • 조호연의 여러가지
TAG
  • 국정농단
  • 정유라
  • 트럼프
  • 청와대
  • 양승태 전 대법원장
  • 미세먼지
  • 사법부
  • 김기춘
  • 촛불집회
  • 북핵
  • 세월호
  • 교육부
  • 문재인 정부
  • 우병우
  • 북한
  • 황교안
  • 블랙리스트
  • 탄핵
  • 박근혜
  • 새누리당
  • 헌법재판소
  • 최순실
  • 성폭력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검찰
  • 자유한국당
  • 촛불
  • 문재인 대통령
  • 박정희
  • 문재인
more
«   2022/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 2022/05 (122)
  • 2022/04 (191)
  • 2022/03 (203)
  • 2022/02 (167)
  • 2022/01 (173)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