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opinionX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opinionX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5983)
    • 정치 칼럼 (5409)
      • 정동칼럼 (191)
      • 에디터의 창 (4)
      • 장덕진 칼럼 (69)
      • 기자 칼럼, 기자메모 (302)
    • 일반 칼럼 (14202)
      • 세상읽기 (836)
      • 정동칼럼 (52)
      • 기자 칼럼, 기자메모 (214)
      • 시선 (261)
      • 詩想과 세상 (120)
      • 문화와 삶 (393)
      • 직설 (481)
      • 경향의 눈 (57)
      • 여적 (283)
      • 생각그림 (74)
      • 김홍표의 과학 한귀퉁이 (39)
      • 송혁기의 책상물림 (164)
      • 임의진의 시골편지 (427)
      • 정희진의 낯선사이 (106)
      • 하태훈의 법과 사회 (42)
      • 이렇게 (476)
    • 주제별 (2583)
      • 픽션 (92)
      • 교육 (645)
      • 노동, 비정규직 (471)
      • IT 통신 (65)
      • 스포츠와 세상 (304)
      • 녹색세상 (195)
      • 환경과 에너지 (811)
    • =====지난 칼럼===== (3758)
      • 고병권의 묵묵 (26)
      • 금태섭의 모서리 (8)
      • 진중권의 돌직구 (10)
      • 신형철의 뉘앙스 (23)
      • 오창익의 인권수첩 (60)
      • 양승훈의 공론 공작소 (42)
      • 김산하의 야생학교 (46)
      • 이굴기의 꽃산 꽃글 (371)
      • 김웅의 덧뵈기 (6)
      • 김규항의 혁명은 안단테로 (59)
      • 김경의 트렌드 vs 클래식 (67)
      • 서민 칼럼 (94)
      • 강용주의 안아픈 사회 (6)
      •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56)
      • 경향시선 (338)
      • 작은 것이 아름답다 (52)
      • 핫 키워드 (27)
      • 지금 SNS에선 (107)
      • 송경동 칼럼 (29)
      • 알고 쓰는 말글 (202)
      • 2030콘서트 (74)
      • 김우창 칼럼 (22)
      • 김종철 칼럼 (49)
      • 김태일의 정치시평 (26)
      • 김호기의 정치시평 (18)
      • 이남주의 정치시평 (18)
      • 하승수의 틈 (44)
      • 장은주의 정치시평 (17)
      • 김규항의 '좌판' (30)
      • 김종휘의 횡단보도 (37)
      • 김종락의 마포스캔들 (36)
      • 고종석의 편지 (22)
      • 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51)
      • 강신주 칼럼 (50)
      • 가족이야기 (31)
      • 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140)
      • 김형경의 뜨거운 의자 (34)
      • 나사못회전의 고전읽기 (53)
      • 사유와 성찰 (193)
      • 낮은 목소리로 (79)
      • 손호철 칼럼 (64)
      • 소소한 풍경 (11)
      • 생생 시사데이터 (31)
      • 이범의 진보가 진보하려면 (7)
      • 이택광 칼럼 (75)
      • 이상돈 칼럼 (27)
      • 이철희 칼럼 (22)
      • 이건의 소방이야기 (43)
      • 우석훈의 시민운동 몇어찌 (50)
      • 장덕진 칼럼 (4)
      • 조국 칼럼 (13)
      • 정도언의 마음읽기 (12)
      • 지금 논쟁 중 (78)
      • 배철현의 심연 (24)
      • 박범신의 논산일기 (12)
      • 박주민의 동분서주 (14)
      • 별별시선 (280)
      • 최장집 칼럼 (15)
      • 표창원 칼럼 (61)
      • 한기호의 다독다독 (104)
      • 함정임의 세상풍경 (60)
      • 황현산의 밤이 선생이다 (19)
      • 한국, 소통합시다 (79)
  • 방명록

일반 칼럼/정희진의 낯선사이 (106)
위스키 온 더 락, 얼음의 법칙을 따르자

한국과 일본의 노동시장 연공서열제는 문제이지만, 나는 모든 이들이 나이와 무관하게 하고 싶은 일을 지속할 수 있는 사회를 원한다. 연령은 계급, 젠더와 함께 중요한 사회 구성 요소로, 모든 분야가 노소(老少)에 따른 ‘우선권’을 둘러싼 정치경제학의 전쟁터다. 나이는 다른 사회 구조와 다르게 ‘어려도’ ‘어중간해도’ ‘늙어도’ 맥락에 따라 차별받는다. 이처럼 연령주의는 간단한 주제는 아니지만, 논외는 있다. 사람들이 “그만큼 해(처)먹었으면 됐지”라고 지칭하는 이들, 정권 교체와 무관하게 평생을 양지에서 “국가를 위해 봉사”해온 사람들은 그만 일해도 된다.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가 대표적이다. 물론 공직자로서 그의 부적절성은 나이(1949년생)가 아니다. 하지만 이런 분들은 이제 쉬거나 다른 방식으로 공동체..

일반 칼럼/정희진의 낯선사이 2022. 5. 18. 09:45
시대를 반영하기보다 거스르는 책을 원한다

거대 양당이 비슷하다지만 정권이 바뀌면 달라지는 사안도 많다. 출판 관련 일도 그중 하나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방부, 여성가족부, 교육 관련 부처,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권장 도서 목록이 있는데, 선정 위원 교체는 중요한 정치다. 이들의 안목에 따라 사병들이 내무반에서 읽는 책, 중·고등학교, 대학, 지역 도서관의 서고가 달라질 수 있다. 정권교체가 아니더라도 책은 시류에 민감하다. 자기 계발서의 범람, 페미니즘의 대중화 이후 여성학 고전의 재출간 붐, 정의롭지 못한 사회의 효과였던 의 200만부 판매…. 책은 당대를 반영한다. 문제는 “반영한다”는 점이다. 아무리 모든 언어가 현실보다 늦게 당도한다 해도 책은 반영이 아니라 시대를 거슬러야 한다. “새로운 기업 문화를 선도하겠습니다”라는 구호는 출판사..

일반 칼럼/정희진의 낯선사이 2022. 4. 20. 09:48
민주당, 적대적 공존에서 단독자로

적대적 공존(敵對的 共存)의 전통적 모델은 냉전 시대의 미국과 소련이다. 국가주의나 진영 논리 등 집단 정체성을 표방한 두 세력이 적으로 대치하는 듯 보이지만, 통치 그룹 차원에서는 그들만의 공존과 번영을 도모하는 은폐된 동맹을 말한다. 개인 간의 인간관계에서도 흔한 현상이다. 냉전(冷戰, cold war)은 미·소 중심의 언어다. 이념상의 차가운 적대가 아니라 강대국이 약소국을 강력하게 통제하는 ‘프로즌 워(frozen war)’ 상태다. 제3세계는 양진영의 대리전, 열전(熱戰)을 치렀다. 말할 것도 없이, 한국전쟁이 대표적이다. 중공군, 유엔군 등 외국인을 제외하고도 한국인 520만명이 사망하고 1000만명의 이산가족을 낳았다. 미·소 강대국 정치의 가장 큰 희생자는 제3세계였다. 두 번째로 한국현대..

일반 칼럼/정희진의 낯선사이 2022. 3. 23. 10:06
문재인 대통령, BTS, 윤석열 후보 팬덤의 국민들

재현물이나 현실에서 정치인, 예술가 등 유명인에게 “팬입니다”라며 악수를 청하는 장면이 나오면 불길하다. 나는 스릴러 영화의 전조를 보는 착각에 빠져 혼자 시나리오를 쓰는 버릇이 있다. “팬이 안티가 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식의 이야기라기보다는 호모 사피엔스의 숭배와 사랑의 관계를 생각하게 된다. 1961년 출간된 에드가 모랭의 는 우상의 역사로부터 시작, 현대 사회 대중문화의 정치경제학과 심리학을 다룬 역작이다. 영국의 영문 표기는 여전히 왕국인 양 ‘United Kingdom(UK)’이다. 영어의 ‘~dom’은 옛 왕국을 뜻한다. “스타덤에 올랐다”는 말은 여기서 나왔다. 오늘날 문화산업 연구에서 소비자의 주체성이 강조되면서 팬덤(fandom)이라는 말도 생겼다. 팬이 없다면 스타도 없다. 팬덤은 ..

일반 칼럼/정희진의 낯선사이 2022. 1. 19. 09:57
김건희씨와 페미니즘

내가 사는 서울 남서부 지역,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눈이 내린다. 양이 상당하다. 눈은 음소거 기능이 있어 주변을 조용하게 만든다. 2019년 12월 이후의 세계. 고요하고 아늑한 겨울밤을 다시 맞을 수 있을까 싶다. 지속될 기후위기와 대통령 선거가 겁나는 시간. 변화와 기대보다 불안한 심정, 나뿐만은 아닐 것이다. 내 친구는 50대 1인 가구 여성으로,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만성 질환을 20년째 앓고 있다. 거래도 없는 서울시에서 가장 공시지가가 낮은 40년 된 연립주택에 산다. 집 소유자, 한 달에 50만원 이상 소득이 있다는 이유로 매달 26만7170원의 지역보험료를 납부해왔다. 지난 8월, 5차 지원금을 받지 못한 대한민국 ‘상위 12%’다. 이달부터 33만3240원 내라는 통지를 받았다...

일반 칼럼/정희진의 낯선사이 2021. 12. 22. 09:44
뉴타운과 빈집

초등학교 반장 선거부터 나는 한 번도 기권한 적이 없다. 기권은 ‘전두환당’에 투표하는 것보다 더 나쁜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기권도 정치적 의사 표현이라면 보이콧 운동을 조직해야지, 기권은 최악이다. 하지만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투표하고 싶지 않다(이 글은 투표일 전에 썼다). 일단, 더불어민주당은 후보를 내지 말았어야 했다. 이번 선거의 원인인 젠더 이슈의 현실은, 성소수자 인권을 내세운 오태양 후보의 홍보물이 훼손되는 수준이다. 지금 내게 이 상황은, 마치 돈 없는 이들이 살 집을 고를 때 소음과 먼지 중 무엇을 더 견딜 수 있는지 택일하라는 것 같다. 실제 나는 먼지가 덜한 집을 택했다. 소음은 집 밖에서 일하다가 잠잘 때만 귀가하여 귀막이를 하든 견딜 방법이 있지만, 먼지는 창을 닫아도 피할 ..

일반 칼럼/정희진의 낯선사이 2021. 4. 8. 10:48
화이트리스트가 블랙리스트를 만든다

논공행상(論功行賞). 요즘 말로, ‘화이트리스트’다. 원래 화이트리스트(국가)는 무역 용어로, 우대하는 상대방을 뜻하지만 최근에는 블랙리스트의 반대말로 권력자가 선호하는 인물로 통용되고 있다. 흑백, 인종주의적 표현이기도 하다. 어느 사회에서나 공동체에 기여한 바의 있고 없음, 크고 작음에 따른 보상은 당연하다. 나는 이 원리가 ‘코드 인사’ ‘제 사람 챙기기’ 등으로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같이 일하려면 가치관이 맞아야 하고, 자신을 도와준 사람은 보호해야 한다. 이 같은 인간사의 기본 원리가 보장되지 않으면, 인간은 자신이 믿는 바, 즉 각자의 당파성을 가지고 책임감 있게 일할 수 없다. 도와준 사람에게 배신당한 경험이 있는 이들은 알 것이다. ‘적’과의 협치도 좋은 방법이지만, 한국 사회..

일반 칼럼/정희진의 낯선사이 2021. 3. 10. 09:43
보궐선거와 성희롱 사건

2019년 4월24일, 선거법 개정안과 공수처법에 대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을 두고, 당시 자유한국당 임이자 의원과 문희상 국회의장 간의 몸싸움을 기억하는 이들이 있을 것이다. 임 의원은 문 의장을 가로막으며 “의장님 (제게) 손대면 성희롱이에요”라고 했고, 졸지에 성 범죄자로 몰린 문 의장은 분노를 참지 못하고 “이렇게 하면 성추행이냐”라며 임 의원의 양 볼을 두 손으로 ‘감쌌다’. 임 의원은 “성추행”이라고 주장했고, 문 의장은 “자해 공갈”이라고 맞섰다. 이후 두 사람 모두 피해자를 자처하며 입원했다. 이날 이채익 의원이 같은 당 임 의원을 두둔한답시고 한 발언은 이 사건에 대한 한국 사회의 문해력을 대변한다. 이 의원은 국회의장실을 점거한 채 열린 당 긴급의원총회에서 열변을 토했다. “키..

일반 칼럼/정희진의 낯선사이 2021. 2. 10. 09:44
이전 1 2 3 4 ··· 14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경향신문 온라인 여론⋯
최근에 올라온 글
  • 대통령 정치언어와 민중⋯
  • 허구적 노동개혁보다 진보⋯
  • [에디터의 창]우리는 ‘검⋯
  • 섞여야 강하다
최근에 달린 댓글
  • 안녕하세요. 내용 잘 보았습⋯
  • 강도태이사장⁹ 정은경청장⋯
  • 댕소리도 정성껏 쓰셨네 남자⋯
  • 정책 세운 놈들은 그게 잘못⋯
Total
6,125,957
Today
376
Yesterday
801
링크
  • 김민아의 소심한 상상
  • 김봉선의 벼르고 벼리기
  • 김진호의 세계읽기
  • 김철웅의 촌철살인
  • 노응근의 글도락
  • 박용채의 심심상인
  • 손동우의 정동만필
  • 송충식의 정동22번지
  • 양권모의 권모술수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 이대근의 세상에 속지않기
  • 이승철의 푼푼한 글집
  • 이종탁이 만난 사람
  • 조호연의 여러가지
TAG
  • 국정농단
  • 정유라
  • 트럼프
  • 청와대
  • 양승태 전 대법원장
  • 미세먼지
  • 사법부
  • 김기춘
  • 촛불집회
  • 북핵
  • 세월호
  • 교육부
  • 문재인 정부
  • 우병우
  • 북한
  • 황교안
  • 블랙리스트
  • 탄핵
  • 박근혜
  • 새누리당
  • 헌법재판소
  • 최순실
  • 성폭력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검찰
  • 자유한국당
  • 촛불
  • 문재인 대통령
  • 박정희
  • 문재인
more
«   2022/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 2022/05 (122)
  • 2022/04 (191)
  • 2022/03 (203)
  • 2022/02 (167)
  • 2022/01 (173)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