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opinionX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opinionX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5983)
    • 정치 칼럼 (5409)
      • 정동칼럼 (191)
      • 에디터의 창 (4)
      • 장덕진 칼럼 (69)
      • 기자 칼럼, 기자메모 (302)
    • 일반 칼럼 (14202)
      • 세상읽기 (836)
      • 정동칼럼 (52)
      • 기자 칼럼, 기자메모 (214)
      • 시선 (261)
      • 詩想과 세상 (120)
      • 문화와 삶 (393)
      • 직설 (481)
      • 경향의 눈 (57)
      • 여적 (283)
      • 생각그림 (74)
      • 김홍표의 과학 한귀퉁이 (39)
      • 송혁기의 책상물림 (164)
      • 임의진의 시골편지 (427)
      • 정희진의 낯선사이 (106)
      • 하태훈의 법과 사회 (42)
      • 이렇게 (476)
    • 주제별 (2583)
      • 픽션 (92)
      • 교육 (645)
      • 노동, 비정규직 (471)
      • IT 통신 (65)
      • 스포츠와 세상 (304)
      • 녹색세상 (195)
      • 환경과 에너지 (811)
    • =====지난 칼럼===== (3758)
      • 고병권의 묵묵 (26)
      • 금태섭의 모서리 (8)
      • 진중권의 돌직구 (10)
      • 신형철의 뉘앙스 (23)
      • 오창익의 인권수첩 (60)
      • 양승훈의 공론 공작소 (42)
      • 김산하의 야생학교 (46)
      • 이굴기의 꽃산 꽃글 (371)
      • 김웅의 덧뵈기 (6)
      • 김규항의 혁명은 안단테로 (59)
      • 김경의 트렌드 vs 클래식 (67)
      • 서민 칼럼 (94)
      • 강용주의 안아픈 사회 (6)
      • 그곳에서 사람을 만나다 (56)
      • 경향시선 (338)
      • 작은 것이 아름답다 (52)
      • 핫 키워드 (27)
      • 지금 SNS에선 (107)
      • 송경동 칼럼 (29)
      • 알고 쓰는 말글 (202)
      • 2030콘서트 (74)
      • 김우창 칼럼 (22)
      • 김종철 칼럼 (49)
      • 김태일의 정치시평 (26)
      • 김호기의 정치시평 (18)
      • 이남주의 정치시평 (18)
      • 하승수의 틈 (44)
      • 장은주의 정치시평 (17)
      • 김규항의 '좌판' (30)
      • 김종휘의 횡단보도 (37)
      • 김종락의 마포스캔들 (36)
      • 고종석의 편지 (22)
      • 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 (51)
      • 강신주 칼럼 (50)
      • 가족이야기 (31)
      • 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140)
      • 김형경의 뜨거운 의자 (34)
      • 나사못회전의 고전읽기 (53)
      • 사유와 성찰 (193)
      • 낮은 목소리로 (79)
      • 손호철 칼럼 (64)
      • 소소한 풍경 (11)
      • 생생 시사데이터 (31)
      • 이범의 진보가 진보하려면 (7)
      • 이택광 칼럼 (75)
      • 이상돈 칼럼 (27)
      • 이철희 칼럼 (22)
      • 이건의 소방이야기 (43)
      • 우석훈의 시민운동 몇어찌 (50)
      • 장덕진 칼럼 (4)
      • 조국 칼럼 (13)
      • 정도언의 마음읽기 (12)
      • 지금 논쟁 중 (78)
      • 배철현의 심연 (24)
      • 박범신의 논산일기 (12)
      • 박주민의 동분서주 (14)
      • 별별시선 (280)
      • 최장집 칼럼 (15)
      • 표창원 칼럼 (61)
      • 한기호의 다독다독 (104)
      • 함정임의 세상풍경 (60)
      • 황현산의 밤이 선생이다 (19)
      • 한국, 소통합시다 (79)
  • 방명록

새누리당 (32)
[사설]특검 연장 반대 당론 정한 한국당의 무책임한 행태

자유한국당(옛 새누리당)이 어제 의원총회를 열어 박영수 특별검사의 수사기간을 연장하는 것에 반대하기로 당론을 정했다. 특검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수사기간 30일 연장을 요청하고, 야 4당까지 원내대표 회동에서 연장 승인을 요구한 상황에서 한국당만 홀로 반대 당론을 정한 것이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이날 당론 채택과정에서 “헌법재판소 심판 이후에도 특검을 계속하는 것은 대선 정국에 특검 수사를 이용한다는 대선용 정치수단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오는 28일로 종료되는) 특검의 연장은 전적으로 황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결정해야 할 문제”라며 새 특검법을 통해서라도 기간을 연장하려는 야당의 발을 묶겠다는 의도도 드러냈다. 특검 수사기간 연장 여부는 그것이 수사에 필요한지를 최우선으로 놓고 따..

일반 칼럼 2017. 2. 21. 10:47
[사설]당명만 바꾼 새누리당의 ‘쇄신 코스프레’ 누가 믿겠나

새누리당이 어제 전국위원회를 열어 당명을 자유한국당으로 바꿔 새 출발을 선언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으로 당을 쇄신한다며 새누리당으로 이름을 바꾼 지 5년 만에 다시 문패를 바꿔 달았다. 비선 실세와 함께 국정을 문란케 해 국회에서 탄핵이 가결된 박 대통령과 선긋기를 하면서 당 쇄신을 강조했다. 이정현 전 대표가 장기간 사퇴를 거부해 지탄을 받은 것을 의식, 당 대표 및 선출직 최고위원에 대한 당원소환제도도 도입했다. 그런데 여당이자 원내 제2당의 새 출발을 선언했으면 시민들이 주목해야 할 터인데 영 그런 분위기가 아니다. 그동안 저지른 과오에 대한 반성을 토대로 거듭나는 모습을 보여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이 하는 양을 보면 과연 시민을 존중하고자 하는 마음이..

정치 칼럼 2017. 2. 14. 09:51
[사설]돈 없어 정당에 들어간다는 반기문의 한심한 정치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엊그제 기자들과 만나 “홀로 하려니 금전적인 부분부터 빡빡하다. 현재는 당이 없다보니 다 내 사비로 모아놓은 돈을 쓰고 있다. 종국적으로는 어떤 정당이든 함께해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 정당과 함께하겠다. 설 연휴 이후 입당의 가닥이 잡힐 것”이라고 했다. 반 전 총장은 지난 12일 입국 때는 “지금 당장은 어떤 정당에 바로 소속한다든지 그런 건 생각 안 하고 있다”고 했다. 불과 1주일도 안돼 정당 입당에 관한 생각이 바뀐 것이다. 조기 대선 국면에서 조직과 자금 지원이 가능하고 검증 등 수많은 난관을 넘기 위해서는 기존 정당에 몸을 담는 게 여러 모로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리 그래도 정당 선택의 이유가 정치 비전과 정책을 함께 실현하기 ..

정치 칼럼 2017. 1. 19. 10:49
[박래용 칼럼]화산은 아직 폭발하지 않았다

주역은 64개의 괘로 길흉을 따진다. 64괘 중에서 가장 좋은 괘가 겸(謙)이다. 겸손할 겸은 말씀 언(言)과 아우를 겸(兼)이 합쳐진 자다. 말할 때 상대를 배려해서 하면 자연 겸손해진다는 뜻이다. 상대의 말을 경청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새해는 겸과는 거리가 먼 해가 될지 모르겠다. 대통령 선거철만 되면 많은 사람들이 이성을 잃는다. 자기가 지지하는 후보는 항상 옳고 똑똑하고 구국의 영웅이다. 들보 같은 흠결도 ‘세상에 안 그런 놈 어디 있느냐’고 하고, 티끌만 한 장점은 “세상에 이런 사람 또 있느냐”고 한다. 무조건적이다. 정책은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세금은, 보육은, 가계 빚은, 실업문제는 어찌 풀지 궁금하지도 않다. 그건 난 모르겠고, 뽑아 주면 어련히 알아서 잘하겠지 식이다. 새누리당 충청권..

정치 칼럼 2017. 1. 3. 10:55
[사설]공산당만 아니면 반기문 따른다는 충북의원의 낡은 사고

여당 충청권 의원들이 퇴임을 앞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찾아가 면담했다. 유력한 대권주자와 국회의원들이 견해를 나누고 미래를 도모하는 것이야 무방한 일이다. 한데 의원들이 지역주의에 기대서 ‘묻지마 지지’를 선언하는 행태는 실망을 넘어 섬뜩하다. 비전과 지향보다는 이해 득실만 따져 지역주의를 부채질해온 정치세력 때문에 한국이 입은 상처가 어느 정도였는지는 더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새누리당 소속 충북 의원들이 지난 22일 미국 뉴욕에서 “반 총장이 정하시는 길로, 공산당(입당)만 아니라면 따라갈 것”이라고 하자 반 총장은 “고맙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의원들은 “보수와 중도를 함께 아울러서 가야 한다”고 말했고, 반 총장은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답했다. 의원들 발언 취지는 퇴행적이고 조악하다...

정치 칼럼 2016. 12. 30. 10:36
[사설]20년 만의 4당 체제와 보수신당에 거는 기대

김무성, 유승민 의원 등 새누리당 비박근혜계 의원 29명이 어제 집단 탈당해 가칭 ‘개혁보수신당’ 창당을 선언했다. 신당은 국회 원내교섭단체 등록을 마친 뒤 첫 의원총회를 열어 주호영, 이종구 의원을 각각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으로 뽑았다. 앞서 탈당해 있던 김용태 의원까지 합류해 의원 30명으로 출발한 신당은 내년 1월 말까지 조직을 정비한 뒤 공식 출범할 계획이다. 보수 정치권이 보수신당과 새누리당으로 양분되면서 정치권이 4당 체제로 재편됐다. 1995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 민자당·국민회의·자민련·민주당 체제가 만들어진 이래 20년 만에 다시 4당 체제가 형성된 것이다. 시민들이 신4당 체제와 보수신당에 거는 기대는 분명하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양당 체제 또는 국민의당을 ..

정치 칼럼 2016. 12. 28. 10:03
[사설]새누리당 33명의 탈당과 새로운 보수의 길

새누리당 김무성·유승민 등 비박근혜계 의원 30여명이 어제 회동한 뒤 다음주 탈당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모임의 대변인인 황영철 의원은 “가짜 보수와 결별하고 진정한 보수 정치의 중심을 세우고자 새로운 길로 가기로 뜻을 모았다”면서 “패권주의를 청산하는 새로운 정치의 중심을 만들어 안정적·개혁적으로 운영할 진짜 보수세력의 대선 승리를 위해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원희룡 제주지사 등도 탈당 의사를 밝혔다. 사상 처음으로 보수정당의 분당이 현실화한 것이다. 그만큼 보수 진영의 위기가 심각하고 새로운 보수에 대한 기대가 크다는 징표이다. 비박계의 탈당은 늦었지만 당연한 귀결이다. 새누리당 친박근혜 세력은 지난 4월 총선에 이어 국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의결로 여론의 매서운 심판을 받았음에도 반성은커녕 민..

정치 칼럼 2016. 12. 22. 11:00
[서민의 어쩌면]어린이에 ‘대통령 꿈’ 심어주는 박근혜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이 국정조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날,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은 “대통령과 단둘이 만나 무슨 얘기를 했냐”고 물었다. 이 부회장은 창조경제에 대해 30~40분간 대화를 나눴다고 대답했다. 안민석 의원이 말한다. “대통령의 머리로는 창조경제에 대해 30~40분 동안 이야기할 만한 그런 지식이 없으세요. 무슨 얘기 했습니까, 30~40분 동안?” 새누리당은 ‘금도를 넘는 인신공격’이라고 비난했지만, 국민들의 반응은 없다시피 했다. 안 의원의 발언에 대부분 동의했기 때문이리라. 대통령이 3차례에 걸친 대국민담화를 하면서 질문을 받지 않은 것, 그리고 가까운 시일 내에 기자들에게 질문할 기회를 주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은 것도 질의응답을 통해 자신의 지적 수준이 드러나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

=====지난 칼럼=====/서민 칼럼 2016. 12. 21. 11:09
이전 1 2 3 4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경향신문 온라인 여론⋯
최근에 올라온 글
  • 대통령 정치언어와 민중⋯
  • 허구적 노동개혁보다 진보⋯
  • [에디터의 창]우리는 ‘검⋯
  • 섞여야 강하다
최근에 달린 댓글
  • 안녕하세요. 내용 잘 보았습⋯
  • 강도태이사장⁹ 정은경청장⋯
  • 댕소리도 정성껏 쓰셨네 남자⋯
  • 정책 세운 놈들은 그게 잘못⋯
Total
6,125,937
Today
356
Yesterday
801
링크
  • 김민아의 소심한 상상
  • 김봉선의 벼르고 벼리기
  • 김진호의 세계읽기
  • 김철웅의 촌철살인
  • 노응근의 글도락
  • 박용채의 심심상인
  • 손동우의 정동만필
  • 송충식의 정동22번지
  • 양권모의 권모술수
  •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 이대근의 세상에 속지않기
  • 이승철의 푼푼한 글집
  • 이종탁이 만난 사람
  • 조호연의 여러가지
TAG
  • 국정농단
  • 정유라
  • 트럼프
  • 청와대
  • 양승태 전 대법원장
  • 미세먼지
  • 사법부
  • 김기춘
  • 촛불집회
  • 북핵
  • 세월호
  • 교육부
  • 문재인 정부
  • 우병우
  • 북한
  • 황교안
  • 블랙리스트
  • 탄핵
  • 박근혜
  • 새누리당
  • 헌법재판소
  • 최순실
  • 성폭력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 검찰
  • 자유한국당
  • 촛불
  • 문재인 대통령
  • 박정희
  • 문재인
more
«   2022/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 2022/05 (122)
  • 2022/04 (191)
  • 2022/03 (203)
  • 2022/02 (167)
  • 2022/01 (173)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